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q5FQ1xdH4g
https://www.nongmin.com/article/20240710500506
곡물 수요 해외의존 갈수록 심화…식량안보 확보 ‘발등에 불’
유엔식량농업기구(FAO) 등 5개 국제기구는 최근 ‘2023 세계 식량안보와 영양 현황’ 보고서를 발간했다.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세계에서 기아로 고통받는 인구가 7억3500만명으로 추산됐
www.nongmin.com
https://www.mafra.go.kr/home/5119/subview.do
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강화
www.mafra.go.kr
https://www.dsa.or.kr/now.html?Table=ins_bbs8&mode=view&uid=108&page=50§ion=&cate_code=&sub=
대산농촌재단
┃기획특집┃식량위기와 식량주권 글쓴이 : 장경호 조회 : 4519 식량주권 어떻게 지킬 것인가? ■ 식량위기와 식량주권■ 식량주권의 차원에서 본 우리밀운동의 현재와 미래■ 식량주권의 대안,
www.dsa.or.kr
https://www.catholictimes.org/article/202311070219035
기후위기 시대, 식량주권을 생각하다
지난 봄, 제주 메밀 생산 농가에 청천벽력과 같은 일이 일어났다. 봄철 이상기후로 수확 전 이삭에서 새싹이 돋는 ‘수발아’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. 제주 메밀밭 900ha 가운데 1/3이 피해를 입었
www.catholictimes.org
식량주권의 제도화와 농민권리 선언에 관한 고찰
비아 깜페시나(La Vía Campesina, 이하 LVC)가 지난 20여 년간 초국적 사회운동(transnational social movement)으로 전개해 온 식량주권운동의 제도화 및 정책화에 대한 논의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.
www.kci.go.kr
https://www.klri.re.kr/kor/publication/2200/view.do
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글로벌 규범 동향과 법제 대응방안 연구 | 연구보고서 | 발간물 | 한국법제
키워드 "식량안보" " 식량 위기" " 식량 공급망" " 식량주권" " 공공비축제도"
www.klri.re.kr
'# 미분류 창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승무원 관점 한국, 중국, 일본 차이점 (0) | 2025.02.17 |
---|---|
대통령 관련 코인 ㅋ (0) | 2025.02.17 |
비트코인 1개당 912원 하던 기억~ (0) | 2025.02.16 |
22년전 예언된 계엄 (0) | 2025.02.16 |
몽클레르 패딩 대치맘이 나오든 말든 진짜는 상관안하지 않나? (0) | 2025.02.16 |